워드프레스 내부네트워크 설치 후 외부 접속이 안될 때
시놀로지 NAS 워드프레스 DDNS 접속 안될때
인터넷 찾아가며 어렵게 시놀로지 NAS에다가 워드프레스를 설치했습니다. 테마도 이것저것 깔아서 잘 동작하는 것도 확인했죠.
근데 웬걸.. 밖에 나와서 접속해보니 안됩니다. 그것도 홈페이지까지는 들어가는데 컨텐츠들을 클릭하면 요청시간 초과 에러…
홈페이지까지는 들어가지니 고유주소 문제인가 싶어 손 대봐도 안되고..
DDNS 설정이 잘못되서 그런가 싶어서 다 살펴봐도 이상없고..
공유기와 DSN의 포트포워딩도 이상없음.. 가상호스트도 이상무..
대체 뭐가 문제지?
원인은 주소체계에 있었습니다. 워드프레스는 내부망에서 설치했으니 내부망 주소체계를 가지고 있고, 외부에서 접속하면 기본주소는 DDNS 설정에 따라서 최초 페이지는 접속되지만 이후 클릭은 주소체계가 꼬이는 것 같습니다.
해결책은.. 최초 설치를 외부네트워크 기준으로 하면 됩니다. 내부네트워크에서 설치한다면 공유기 NAT loopback 기능을 이용하든지 해서 일단 외부접속 주소체계로 들어가서 설치하시기 바랍니다.
설치 장소에 공유기가 2대 있으면 NAS와 다른 네트워크에서 접속해서 설치, 이도저도 안되면 핸드폰의 핫스팟기능을 이용해서 LTE망으로 들어가서 설치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NAT loopback 기능이 없을 경우 해당 pc에서만 강제로 설정이 가능한데 C:/WINDOWS/system32/drivers/etc 폴더에 있는 hosts 파일을 수정해주면 됩니다. hosts 파일은 메모장을 관리자모드로 실행해야만 수정할 수 있습니다.

위 그림의 마지막줄 처럼 앞에 내부네트워크 주소, 뒤에 외부네트워크 주소만 추가해주면 됩니다. 당연히 앞에 #은 빼고 하셔야 적용됩니다.

숫자 2다음의 세로바는 커서표시니 신경쓰지 마세요.
이렇게 했을 때의 단점은 외부에서 DDNS 접속이 안되기 때문에 노트북의 경우에는 작업이 끝나고, 외부로 나갈때면 지우던지 앞에 #을 붙여 놓던지 해야하는 귀찮음이 있습니다. 데스크탑 PC는 들고나갈일이 없어서 수정할 일이 없겠네요.
암튼… 워드프레스가 외부접속이 안되면 싹 지우고 다시 외부주소로 접속해서 설치하면 해결됩니다.